승강기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관리주체(관리소 또는 건물주) 「승강기 안전관리법 제29조 1항」 에 의거하여 「승강기 안전관리자」 를 3개월 이내에 한국승강기 안전공단에 선임하여야 하는데, 승강기 운행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사람이라는 조건이 있네요. 아무나 승강기 안전관리자로 선임할 수 없다는 의미 겠지요. 승강기 안전관리자 선임 및 자격 ▣ 승강기 안전관리법 제29조(승강기 안전관리자) ① 관리주체는 승강기 운행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사람을 승강기 안전관리자로 선임하여 승강기를 관리하게 하여야 한다. 다만, 관리주체가 직접 승강기를 관리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 관리주체는 제1항에 따라 승강기 안전관리자(관리주체가 직접 승강기를 관리하는 경우에는 그 관리주체를 말한다)를 선임하였을 때에는 행..
옥상 점검 중 평소보다 큰 소음이 나는 주방 배기 휀이 발견되어 점검하여 봅니다. 소음 발생 소리를 여러분도 한번 들어 보세요. 베어링 마모로 인한 소음 베어링 손상으로 인한 소음 점검 결과 건물 준공 후 한 번도 교체를 하지 않고 사용한 베어링이 마모 손상이 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확실히 하기 위해 업체 사장님한테 동영상을 찍어 문자를 보내 업체 의견을 구해 보니 베어링 손상이 맞다고 합니다. 베어링 규격확인 베어링 규격(베어링 넘버)을 알아야 교체 견적을 받을 수 있는데, 보통 급기휀 명판에 베어링 규격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명판을 촬영하여 업체에 보내주면 교체 견적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희 현장의 배기휀 명판을 보니 베어링 규격이 P208이라고 표기되어 있네요. 명판이 훼손되..
우리가 흔하게 길가 또는 아파트, 주택, 건물 등의 외벽에서 볼 수 있는 에어컨 실외기, 특히 여름철 길가에 놓여 있는 에어컨 실외기에서 나오는 열기와 소음으로 더운 날씨에 더 짜증이 날 수밖에 없었는데요. 하지만 이런 실외기들이 조금씩 자취를 감추고 있고, 최근 신축 아파트 외벽에서는 에어컨 실외기를 전혀 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2006년부터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37조 5항”에 따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은 에어컨 실외기를 건물 외부에 설치할 수 없고, 건물 내부에만 설치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러나 이 법령은 주택, 상가 등가 같은 일반건축물에는 적용이 안되고,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만 적용된다고 합니다.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37조(난방설비 등)⑤공동주택의 각 세대에는 발코니 ..
일상생활 속에서 이용하는 승강기는 많은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번 승강기를 타면서 층 버튼을 열심히 누르고 각자의 목적지에 내립니다. 오늘은 승강기 버튼 중 거의 잘 사용하지 않는 “비상통화 버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승강기는 사면이 모두 철판으로 되어 있어 핸드폰 수신이 잘되지 않는 대표적인 음영지역 중 한 곳으로, 각 이동통신사에 민원상담을 해보면 승강기 내부는 수신 장애 민원 대상이 안되기 때문에 처리 불가로 답변을 하는 곳이 많습니다. 그렇다면 휴대전화가 안 되는 상황에서 승강기 고장으로 갇히게 됐을 때 외부와 연락할 수 있는 방법은 “비상통화 버튼”을 누르는 것입니다. 승강기 비상통화 장치의 연결 순서 비상통화 버튼을 누르면 1차적으로 관리사무실 또는 경비실..
펌프누수 부분 기계실 점검 중 난방 순환 펌프에서 물이 새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난방 순환펌프 두 대가 교대로 교번 운전하기 때문에 한 대를 정지해도 나머지 한 대로 계속 난방수를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누수가 발생하는 펌프를 정지시켜 누수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합니다. 누수 발견 후 조치 먼저 펌프 제어 패널에서 자동/수동 셀렉터 스위치를 돌려 자동에서 수동운전으로 변경 후 누수가 발생하는 펌프의 OFF 스위치를 눌러 정지시켜 주고, 반대로 누수가 발생하는 않는 펌프는 ON버튼을 눌러 펌프를 가동하여 난방수를 순환시켜 줍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누수가 발생하는 펌프 배관 밸브를 잠가 주시면 더 이상 펌프에서는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누수원인 파악 및 보수 여기까지는 펌프 누수 시 ..
물탱크를 거치지 않고 시에서 공급되는 상수도의 수압만(2~3kg/㎠)을 이용하여 수돗물을 공급하는 방식을 직결급수 방식이라 하는데, 보통 3층, 4층 높이의 건물까지는 직결급수 방식으로 무리 없이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으나, 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직결급수 방식으로는 고층까지 수돗물을 공급할 수가 없어 저수조에 물을 저장 후 부스터 펌프로 가압하여 수돗물을 공급하게 됩니다. 여러분들도 저수조, 고가수조 한 번쯤은 들어 보셨을 텐데요. 지하에 있으면 저수조, 옥상에 있으면 고가수조이고 모두 물탱크를 가리키는 말로, 저수조 청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층건물이나 아파트 등에서는 식수로 사용하는 물은 저수조에 저장하였다가 공급되는 물이어서 저수조의 위생관리는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저수조(물탱크)..
대형마트나 아파트 건물 지하주차장에서 여성을 상대로 한 범죄에 관련된 뉴스를 접해본 경험들이 있으실 텐데요. 이런 뉴스를 접한 후 이른 새벽이나 늦은 밤 아무도 없는 지하주차장을 혼자 가기가 꺼림칙하고, 주차장에 들어서게 되면 주변을 한번 더 둘러볼 수밖에 없게 되지요. 지하주차장 비상벨 용도 지하주차장에서의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알아두셔야 할 비상장치가 한 가지 있습니다. 주차장 기둥에 보시면 위급 상황 시 눌러주세요 하는 비상벨을 볼 수 있는데요. 비상벨을 누르게 되면 비상경보 벨이 지하주차장에 울리게 되고, 관리사무실이나 중앙관제실 등으로 연결이 되어 관리자와 통화를 할 수 있게 되어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비상벨을 누르는 순간 중앙관제실 모니터 화면에 벨을 누른 곳의 위치와 CC..
건물관리 관련 자격증 포스팅을 하면서 전기기사를 제일 먼저 하는 이유는 건물관리 분야에서 제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격증이기 때문입니다. 건물의 전기설비 용량이 1,000㎾ 이상 되면 전기기사 또는 전기산업기사 자격증 소지자를 전기안전관리자로 선임하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전기안전관리자가 전기과장의 직책을 부여받으며, 또한 관리소장을 겸직하기도 하기합니다. 따라서 전기기사를 취득하면 건물 또는 시설관리 분야 취업 시 매우 유리하며, 취업 후 중간관리자 또는 관리소장이 되기 위해 꼭 필요한 자격증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기기사는 기사 시험 중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들 정도로 어렵고, 합격률도 높지 않은 편입니다. 전기기사 시험은 1차 필기시험(객관식), 2차 실기시험(주관식)으로..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